본문 바로가기
 

주요업무

  • 연구소
  • 풍기인삼연구소
  • 주요업무

고품질 차별화 기술 개발로 인삼 산업 경쟁력 강화

 

고품질 인삼 신품종 육성 및 안정 생산 연구

기후변화 대응 인삼 병해충 방제 및 연작장해 경감 연구

소비 확대를 위한 가공품 개발 및 산업화 연구

인삼 유전자원 보존 및 신품종 육성

- 기후변화 대응 재해 안정성 및 가공적성 우수 품종 육성
- 인삼 유전자원 지속적 확보 및 계통별 데이터베이스 구축

인삼 신품종 육성

  • 우수계통 농촌진흥청 지역적응시험 추진
    • 지역적응시험 추진(3년차) : 경북2호, 경북5호
    • 지역적응시험 추진용 우수계통 자원 증식 : 경북6호
    • 내병성 검정 및 특이계통 자원수집 : 50점

인삼 유전자원 보존 및 특성 조사

유전자원 특성 D/B구축 및 관리용 앱 활용
  • 양적 및 질적 형질 특성 기준 설정 및 D/B 구축 200계통
  • 선발 계통 증식 및 특성조사 : 21계통
유효물질 함유 특성 분석
  • 자원 계통별 진세노사이드 함량 분석 및 D/B화(50계통)
  • 생육시기별, 부위별 기능성 물질 함량 분석

인삼 시설 재배 안정생산 기술 연구

- 인삼 연작장해 문제(초작지 감소) 및 기후변화 재해 증가
- 전문 경영인력 고령화 및 감소 : 집약관리 및 생력화 기술 필요

인삼 시설 재배 안정생산 기술 연구

  • 시설 유형별 자율제어 스마트팜 실용화 연구
    • 농가보급형하우스, 이동식베드시스템 적용
    • ICT 환경제어 시스템 보강 : 자동관수관리, 온도 조절
    • 토양수분 시기별 적정관리 기술, 고온피해 방지조절 기술 확립
  • 시설인삼 전용 용토 개발
    • 원야토, 피트모스, 발효퇴비, 펄라이트, 질석 혼합 비율 개선 연구
  • 시설인삼 양분관리용 친환경자재 개발
    • 해조추출물, 휴믹산, 풀빅산 등 천연물 중심 생육강화용
  • 시설환경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 인삼재배시설 13개소 환경데이터 수집 및 통합관리

 

       인삼비가림하우스 시설     농가보급형 디지털팜       이동식베드시설

인삼 고부가 가치 가공 기술 개발

- 인삼 기능성 물질의 산업소재화로 고부가가치 창출
- 지역 생산 인삼원료 이용 다양한 제품 개발로 소비확대 필요

고기능성 인삼 발효제품 개발

  • 인삼 고상 발효기술 확립 및 고부가화
    • 사포닌 전환 활성 미생물 및 효소 이용 고기능성 사포닌 증대
 
  • 순차발효 기술을 이용한 유효성분 증진기술 개발

인삼 기호도 및 섭취 편이성 개선 제품 개발

  • 발효 인삼에 과일류 및 향미성분 첨가를 통한 기호도 개선
  • 섭취 편이성 향상(구미젤리, 액상젤리 등), 흡수율 증대(컴파운드K 향상)

친환경 시설인삼 활용 산업화 제품 개발

  • 잎, 열매, 뿌리 등 부위별 기능성 소재화
  • 시설인삼 지상부 특이성분 함량 증진 기술 개발
  • 기능성분(미백) 강화(전환)균주선발, 전통 발효식품군 내
  • 마스크팩 등 화장품 원료용 소재화

인삼 병해충 예찰 및 빅데이터 수집

- 인삼 병해충 정밀예찰 및 방제력 개선으로 적기방제
- 인삼 생육시기별, 연생별 및 재배환경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후변화 대응 병해충 방제기술 개발

  • 기후변화 대응 병해충 발생동향 분석 및 방제체계 개선
    • 병해충 조기발생분석 : 점무늬병(5월→4월), 총채벌레(4월 하순→중순)
  • 인삼 돌발 병해충 및 주요 병해충 발생 상시 모니터링
    • 조사지역 : 영주, 봉화, 안동 등 3시군 각 12개소 이상
  • 인삼 시설재배 친환경제제 선발
    • 대상병해 : 잘록병, 잿빛곰팡이병
    • 시험제제 : 이온수, 황, 미생물제(Bacillus sp.)
  • 인삼은 연작피해가 가장 큰 작물로 신규 경작지 확보 곤란
    • 재배지 전국 확대 및 논재배 증가(′90년 17.2%→′19년 42.3%)

인삼 빅데이터 수집 분석

  • 연생별, 생육시기별 생육환경 및 양적형질 자료수집
    • 조사지역 : 영주, 예천, 봉화 3시군 각 2개소
  • 요인간 상관 분석으로 최적 생산모델 개발
     

지역현안 현장 대응 강화

- 연구개발 기술 및 공동연구 성과물 등의 산업화 추진
- 지역 선도 농업인 육성 및 청년농업인의 성공적인 정착 지원

사업화 연계 기술개발(R&BD) 및 조기 사업화 추진

  • 시장중심형 융복합 제품화 연구 : 원료 공급 및 제품 개발
    • 풍기인삼농협, 지역 중소형 가공업체 기술이전 추진
    • 업무협약(MOU)을 통한 신속한 업무추진 체계 구축

신규 창업 소공인 지원 테크노파크 조성

  • 지표성분 분석, 필요기술 지원 : 제품 개량, 신제형 개발 등
  • 신규 진입 소공인 컨설팅 추진 : HACCP, GMP 인증 등

특화작목연구회 및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운영

  • 인삼연구회 역량 강화 및 소통 활성화
    • 세미나 및 선진지 견학 실시, 지역 현안 소통 및 상시 협의 추진
    • 회원농가 및 지역농가 현장컨설팅 신속지원
  • 인삼 청년농업인 활성화
    • 차세대 인삼경작인 협의체 구성 : 2, 3세대 농가 중심
담당부서
연구개발국 풍기인삼연구소
담당자
손형락
전화번호
054-632-1250
최근수정일
2023.03.07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및 의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