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 열린광장
  • 보도자료
사과 신규 재배 농가에 적정 경영모형 정보 제시
부서명
농촌지원국 기획교육과
등록일
2022-11-11
작성자
이미향 ( T. 053-320-0444)
조회
131
nongupgisulwon
- 신규진입농가 및 청년농업인에게 목표소득 5천만원 만들기 의사결정 자료 제공 
경북농업기술원은 농촌진흥청, 충북농업기술원, 경남농업기술원과 함께 공동으로 『주요 품목의 농장 경영모델 개발』연구를 2020년부터 진행하였으며 품목별 적정 경영모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왔다.    
도시근로자의 가계소득이 연평균 6천3백만원 수준인 것을 감안하여 농가에서도 비슷한 수준의 소득을 올리는데 착안하여 목표소득 5천만원 달성에 필요한 농업자산 및 비용정보, 작업단계별 순별 노동시간 등을 제공한다.     
전국적으로 표준화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과 주산지의 명장, 명인, 마이스터 등 선도농가 위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모형을 만들었다.     
5천만원 목표소득 달성을 위한 사과 재배면적은 1.12ha(3,400평 정도)이며, 조ㆍ중ㆍ만생종의 적정비율은 10%, 40%, 50%, 기반조성 및 지주ㆍ관배수시설 등을 위한 과원조성비는 5천 4백만원이 필요하다.     
사과 재배 시 가장 많은 노동력(10a)이 투입되는 작업단계는 착과관리  40.5시간, 착색관리 28.1시간, 수확 및 운반 27.4시간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순별 노동력은 5월 중순~6월 상순, 9월 중ㆍ하순, 10월 중ㆍ하순에 집중되었다.   
사과 재식연차별 10a당 수량은 4년차 1,845kg, 5년차 2,692kg, 6년차  3,435kg까지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총수입은 4년차 4천3백만원, 5년차 6천300백만원으로 점차 증가하므로 초기 투자액의 원금을 회수하는데 4.4년이 필요하다.     
신용습 경상북도농업기술원장은 “처음 귀농하는 농가와 작목을 전환하려고 하는 농가, 창농을 준비중인 청년들에게 매우 중요하고 필수적인 것이 바로 해당 작목에 대한 적합한 경영모형 정보이다.” 라고 강조하였으며, “사과를 처음 재배하고자 하는 농가들에게 목표소득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며, 이들이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고 말했다. 
[문의] 원예경영연구과 053-320-0275 
첨부파일목록
담당부서
농촌지원국 기획교육과
담당자
이혜정
전화번호
053-320-0444
최근수정일
2023.11.30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셨습니까?

사용편의성 만족도 및 의견